보건관리학과는 미래복지사회의 핵심분야로서 회사/기관에서 법적으로 의무 채용해야 하는 보건관리자를 중점적으로 양성하는 학과입니다. 종합병원 보건관리자, 기업체 보건 및 안전관리자, 학교 보건관리자, 공공기관 보건관리자, 화학물질 안전관리자, 환경 보건관리자, 노동부/환경부 보건관리 전문가 등 보건관리 및 건강증진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학문 및 실무 지식을 학습합니다.
학과강점
- 국가 자격증 취득을 통한 보건관리자 법적 자격 취득 가능(보건직 공무원 5% 가산점)
- 보건관리자는 일정 규모 이상 기업체/공공기관에서 법적 의무 채용(산업안전보건법)
- 질적/양적으로 우수한 취업(삼성전자/LG디스플레이, SK건설, 종합병원, 산업안전보건공단, 대한산업보건협회 등)
- 정부의 보건/안전 정책 강화로 취업처 확대
- 국제교류 프로그램(일본 산업의과대학 산업보건학과와 2005년부터 매년 방문 교류)
- 화학물질 안전관리 특성화대학원 선정(환경부 지원, 2021년~)
연혁
1988년 환경보건학과로 시작하여, 1999년 개설된 산업보건학과와 2021년부터 보건안전학부(산업보건+환경안전)를 운영하였고, 이 경험을 바탕으로 2025년도부터 보건관리학과로 개편함
취득가능 자격증
- 보건관리자 국가 자격증: 산업위생관리기사, 대기환경기사, 인간공학기사
- 산업안전기사(안전관리자), 위생사(국가 면허), 환경위해관리기사, 위험물관리산업기사, 실험동물기술원
(취업률 높은 국가기술자격 3위 산업위생관리기사, 고용노동부 보도자료(2025.3.20.))
졸업 후 진로
- 종합병원 보건관리업무: 울산대병원, 경주동국대병원, 원주연세대병원 등
- 기업체 보건/안전 관리: 풍산㈜, SK건설, 삼성전자, LG전자, POSCO 등
- 학교/교육청 보건관리업무: 교육청 보건직 공무원, 경북대학교/연세대학교 등
- 국가기관 보건관리업무: 노동부, 근로복지공단, 국립환경과학원, 보건소 등
- 공공기관 보건관리업무: 안전보건공단, 대구 동구청,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
- 보건관리 전문기관: 대한산업보건협회, EHS컨설팅 회사, 산업보건센터, 환경보건센터 등
연락처 : 053-850-3458, 053-850-3250, 010-2520-8489
미래 복지사회의 보건/안전/환경 전문가가 되고 싶다면? 보건안전학과는
지방대학활성화사업 참여학과입니다.
전공홈페이지 : https://academics.cu.ac.kr/safety
-
위치 : 바이오메디대학
-
연락처 : 053)850-3458